KOREAN
Search
⌃K
🎡

X2E PLATFORM

카페의 프리퀀시, 커머스의 포인트 등 실생활에서 이미 우리는 2E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WEB3 방식으로 구현되는 플랫폼을 통해 이러한 특정 행위에 대한 활동 소득을 누구나 제공할 수 있고 경계 없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급과 수요가 균형 잡힌 생태계를 만들고자 합니다.
KPOP CTzen 프로젝트는 유틸리티로서 X2E (Everything To Earn) PLATFORM을 갖춥니다.
KPOP CTzen 프로젝트의 IP (페르소나) 가 해당 플랫폼의 첫 이용조건이 됩니다. V1과 V2에서 파생될 수많은 프로젝트가 얽히고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여 특정 범주의 유행적인 2E에 갇히지 않고 다양한 차원의 보상 경제 생태계를 만들어 나갑니다.

프로젝트의 X2E 모델 예시

L2E(Listen To Earn), C2E(Create To Earn), S2E(Social To Earn)이 실현 됩니다.
L2E
C2E
S2E
2022년 하반기 KPOP CTzen 프로젝트에서 L2E 라디오가 런칭 됩니다. 등록된 음악을 스트리밍하면 토큰이 채굴되며 이는 게임을 해야 하는 P2E나 운동을 해야 하는 M2E가 아닌 방치형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이고 추후 본인의 스트리밍 채널을 개설하고 싶은 아티스트나 작곡가의 공급 풀까지 확대시키는 플랫폼입니다.
주로 페르소나의 발현 같은 창작 공모전과 같은 창작 활동들이 진행됩니다. 대표적인 공모전으로 2022년 5월에 진행되었던 성수동(서울, 한국) KPOP CTzen 벽화모델 공모전과 홀더 Hoze(Hoze#1452)의 초상화 이벤트, 앞으로 진행 될 KPCT 아이돌 관련 공모전이 있습니다.
홀더의 커뮤니티 (Social) 활동으로 나온 파생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프로젝트 과정 중에서 기획, 아트워크, 운영 관리 등과 같은 일이 진행될때 단기적인 S2E, C2E 등이 세분화되어 추가로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프로젝트의 목적에 따라 B2E(Buy To Earn)나 P2E가 발생할 수도 있고 세계관 확장으로 연결된 곳에서 또 다른 X2E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